교황, "돈이 인간의 삶을 억눌러"
빈부격차·황금만능주의 비판
"금송아지를 숭배하는 비인간적 삶이 나타나고 있다. 경제의 지배 아래에서 인간 존엄을 잃은 채 삶을 이어가고 있다."
교황 프란치스코가 16일(현지 시각) 바티칸을 찾은 세계 각국 대사들을 만난 자리에서 "사람들이 돈을 숭상하며 새로운 우상을 만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또 "인간은 자신을 쓰고 버리는 소비재로 여긴다"며 "시장이 인간의 삶을 억누르고 있다"고 말했다.
교황은 빈부격차와 배금주의에 대해 쓴소리를 쏟아냈다. 그는 "소수의 소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동안 대중은 무너지고 있다"며 "사람들은 오직 소비력만으로 판단하는 세상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교황은 시장의 무절제한 자율성과 투기적 금융을 이런 현 세태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또 탈세와 부패 등 비윤리적 행위도 비판했다. 이런 행태는 윤리를 거부하고, 신을 거부하는 태도라고 말했다. 그는 "돈이 사람을 지배해서는 안 된다"며 "돈에 대한 숭배를 중단하고 가난한 이를 위해 더 열심히 일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황은 지난 1일 노동절에도 방글라데시 의류공장 참사를 지적하며 "인간의 존엄은 돈이 아닌 노동에 있다"며 현 자본주의의 병폐를 지적했었다.
교황 프란치스코가 16일(현지 시각) 바티칸을 찾은 세계 각국 대사들을 만난 자리에서 "사람들이 돈을 숭상하며 새로운 우상을 만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그는 또 "인간은 자신을 쓰고 버리는 소비재로 여긴다"며 "시장이 인간의 삶을 억누르고 있다"고 말했다.
교황은 빈부격차와 배금주의에 대해 쓴소리를 쏟아냈다. 그는 "소수의 소득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동안 대중은 무너지고 있다"며 "사람들은 오직 소비력만으로 판단하는 세상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교황은 시장의 무절제한 자율성과 투기적 금융을 이런 현 세태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또 탈세와 부패 등 비윤리적 행위도 비판했다. 이런 행태는 윤리를 거부하고, 신을 거부하는 태도라고 말했다. 그는 "돈이 사람을 지배해서는 안 된다"며 "돈에 대한 숭배를 중단하고 가난한 이를 위해 더 열심히 일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황은 지난 1일 노동절에도 방글라데시 의류공장 참사를 지적하며 "인간의 존엄은 돈이 아닌 노동에 있다"며 현 자본주의의 병폐를 지적했었다.
2013.5.18 조선일보
'사색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티븐 코비의 90대 10의 원칙 (0) | 2013.08.22 |
---|---|
명언 (0) | 2013.07.10 |
사랑이란 (0) | 2013.03.06 |
리더는 아무나 하는게 아니다. (0) | 2012.11.30 |
세상을 보는 방법 (0) | 201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