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양식

죄인들은 어디로 가는가?

오렌지와 은하수 2013. 1. 10. 12:26

모든 문제에는

반드시 문제를 푸는 열쇠가 있다.

끊임없이 생각하고 찾아내라.

                                    [노먼 빈센트 필]

 

[ 로마서 5 : 6 ~ 15 ]

 

 

[죄인들은 어디로 가는가?]

우리가 아직 죄인 되었을 때에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심으로 하나님께서 우리에 대한 자기의 사랑을 확증하셨느니라 - 로마서 5:8

 

내 친구가 기독교신앙에 대해 별로 좋지 않게 이야기하는 밥이라는 남자와 대화를 나누고 있었습니다. 내 친구는 자신이 너무 “종교적”인 느낌을 주면 예수님을 증거할 기회를 놓치는 위험에 빠지리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이야기 도중에 “이봐요 밥, 죄인들이 어디로 가는지 아세요”라고 물었습니다. “그거야 쉽죠. 당신은 지금 죄인들은 지옥에 간다고 제게 말하려는 거지요.”라고 밥이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내 친구는 “아뇨. 죄인들은 교회로 갑니다.”라고 답했습니다.

 

밥은 할 말을 잃었습니다. 그 대답은 그가 기대했던 것이 아니었습니다. 밥은 자신이 완전하지 못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그리스도인과 대화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습니다. 내 친구는 밥과 대화하며 그리스도인들이 자신들의 죄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영적인 회복을 계속 필요로 한다는 것을 나눌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또한 우리가 죄인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으로부터 값없이 은혜를 받았다는 것도 그에게 설명할 수 있었습니다(롬 5:8-9; 엡 2:8-9).

 

우리는 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해 외부 사람들에게 좀 더 분명하게 보여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 아들 안에서…속량 곧 죄사함을”(골 1:14) 주시는 우리 구주를 찬양하기 위해 우리가 교회에 모인다는 것을 그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그렇습니다. 죄인들이 교회에 갑니다. 그리고 죄인들, 곧 죄 사함 받은 죄인들이 하나님의 은혜로 천국에 갑니다.

 

 

교회는 죄인들을 위한 병원이지, 성도들의 사교마당이 아니다

 

 

로마서 5:6~15 [쉬운성경]

6 우리가 아직 연약할 때에, 그리스도께서 시의 적절할 때에 경건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해 죽으셨습니다.
7 의인을 위해 죽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간혹 선한 사람을 위해 죽겠다고

   나서는 사람이 있을런지는 모르겠습니다.
8 그런데 그리스도께서는 우리가 아직 죄인이었을 때에 우리를 위해

   죽으셨습니다. 이것으로써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향한 그분의 사랑을

   나타내셨습니다.
9 그러므로 우리는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었으므로, 우리가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진노로부터 구원을 받을 것은 더욱 확실합니다.
10 우리가 하나님과 원수가 되었을 때도,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하나님과

    화해하게 되었다면, 이렇게 하나님과 화목을 누리고 있는 사람들이 그분의

    생명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게 될 것은 더욱 확실합니다.
11 이뿐만 아니라, 우리는 이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 안에서

    즐거워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이제 우리는 하나님과 화해하게

    되었습니다.
12 <아담과 그리스도> 그러므로 한 사람을 통해 죄가 세상에 들어왔고 그 죄를

    통해 사망이 들어온 것처럼,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습니다.
13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시기 전에도 죄가 세상에 있었지만, 율법이 없을 때에

    는 죄를 죄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14 그러나 사망은 아담 시대부터 모세 시대에 이르기까지, 심지어 아담이 지은

    죄와 똑같은 죄를 짓지 않은 사람들마저 지배하였습니다. 아담은 장차 오실

    분의 모형입니다.
15 하지만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는 아담이 지은 죄와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이 그 한 사람의 죄 때문에 죽었다면,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인한 하나님의 은혜와 선물은 많은 사람에게 더욱 넘쳤습니다.

'오늘양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적인 안목  (0) 2013.01.10
신비스러운 보이지 않는 어떤 것  (0) 2012.07.31
생애 최고의 것  (0) 2012.07.30
Fresh and Flourishing  (0) 2012.02.24
두 개의 막대기 이야기  (0) 2011.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