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사이팅

천문학적 숫자 (1광년)

오렌지와 은하수 2013. 2. 7. 18:04

○ 1광년의 거리는?
 
- 1광년은 빛이 1년동안 전진한 거리를 말하며, 그냥 계산하면 알수있다.
- 빛의 속도는 잘 아시다시피 1초에 30만 km의 속도로 전진하므로
- 30만km X 3600초(1시간) X 24시간(1일) X 365일(1년) 하면
9,460,800,000,000km..................... 이런것을 천문학적 숫자라고 한다.
즉, 1광년의 거리는 9조 4608억 km 이다.
(요즘 우리나라 1년 예산을 보면 수백조원인데 10조도 안되는 단위라 실감이 나지 않는군...)
 
그러면 이 거리가 얼마나 먼 거리인지 쉽게 계산해 보겠습니다.
시속 300km로 달리는 고속열차로 쉬지않고 달린다고 가정하면 360만년 걸리는 거리
그리고 우주선 보이저호가 초속 7km(시속 25,200km) 속도로 달린다 해도 약 42,857년 소요
그러니 현실적으로 1광년은 우리에게는 의미가 없다.
 
지구가 속해있는 우리은하의 지름은 10만광년. 보이저호로 간다면 42억 8570년 소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는 안드로메다 은하로 200만광년 거리에 있는데 이 정도만 생각해도 더 이상 거리나 숫자의 개념은 없다.
 
그리고 하나의 은하에는 약1,000억개의 별들이 있고, 우주에는 이러한 은하가 역시 약 1000억개 있다고 하는데 이 정도 되면 머리가 따끈따끈하지 않을까?
그런데 이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어떻게 측정할까?
어차피 빅뱅이론부터 우주의 시간과 거리는 논리적인 가설로부터 시작했기 때문에 이것을 그대 믿는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까...
 
숫자로 따진다면 위에서 언급한 천문학적 숫자와는 비교가 되지않지만
지구의 나이나 화석등의 추정연대도 따져봐야 한다.
일반인의 입장에서 보면 지구나이가 150억년이라는 것도
가설과 과학적인 논리에 의해 나온 계산값이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못하다.
1만년 정도이라면 모르지만...